독서-서른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구본준, 김미영)  
  hit : 5178 , 2011-03-17 08:54 (목)
(구본준)
소장님께서는 원래부터 독서광이었나요?

(승효상)
네. 어려서부터 독서광이었어요. 중고교시절 독서반에서 활동했죠.
그렇지만 제가 진짜 독서를 해야 한다고 깨닫은 것은 인생 최대의 갈림길을 만났을 때였어요.

젊은 시절 저는 당대 최대였던 김수근 건축가 밑에서 촉망받는 신진 건축가로 출발했어요.
저는 서른 여덟에 제 이름을 걸고 사무실을 차리며 독립했죠.
김수근이란 거대한 배경은 사라졌고 오로지 저 홀로 서야만 했습니다.
사실 이젠 탈출하고 싶다는 생각에 회사를 나왔어요.

그런데 막상 회사를 나와보니 너무 혼란스러운 겁니다.
제 이름을 걸고 '승효상 건축'을 해야 하는데 그 방법을 모르겠던 거예요.
그때 저를 승효상으로 돌아가게 해준 것이 바로 책이었어요.


(구본준)
그때 읽은 책이 무슨 책인가요?

(승효상)
마티 매기드가 쓴 <다이얼로그 인 더 보이드>란 외서예요.
아직 국내에는 번역되지 않았죠. 

이 책은 <고도를 기다리며>를 쓴 새무얼 배케트와 조각가 자코메티의 이야기를 다룬
아주 짧은 책인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저는 온몸에 전율을 느꼈어요.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무대  미술을 자코메티가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이 어떻게 작업을 했는냐를 다룬 책인데, 저자는 두 위대한 예술가의 공통점이
바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거의 강박관념 수준이었다는 걸 꼽습니다.

그런데 그 두 사람의 그런 강박관념이 그때 저에게 정말 끔찍하게 와 닿았습니다. 
아주 사소한 문제 하나를 가지고도 그들이 얼마나 고민하는지 놀랐습니다.
' 아, 프로들이 저렇게  고민하는구나. 프로들이란 저런 존재구나' 처절하게 실감한 거죠
                                                         - 298쪽 -


(구본준)
그러면 승소장님처럼 자기 브랜드로 살아가는 전문인들은 일반인들과 어떤 차별점을 두고서
독서를 해야 할까요?

(승효상) 
일반인의 독서와 그리 다르지 않아요. 단 한가지가 다르죠.
전문가가 다른 사람들과 달라야 하는 점은 자기 프레임을 빨리 만들어야 하는 겁니다. 
전문가라면 남들과 다른 분명한 브랜드를 가져야 합니다. 
그래서 이를 위한 책읽기를 해야하죠.  

자기 프레임을 만드는 방법은 자기 분야의 본질에 다가가는 방법 말고는 없습니다. 
'건축을 하면 건축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자기가 영업을 하면 영업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이걸 진짜로 고민해봐야 합니다.


(구본준)
진짜 고민이란 말이 와 닿습니다.
과연 자기 직업에 얼마나 절실하게 고민을 해봤는지 생각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본질을 고민하는 독서는 또 어떻게 해야하는지 여쭤 볼께요

(승효상) 
본질에 관련된 책을 찾아야죠.
그러다 보면 책을 읽는 도중에 고민하는 버릇이 꾸준히  생기게 돼요.
잘못된 답을 얻을 수도 있지만, 그보다 고민하는 과정 그 자체가 더 중요합니다.
이런 고민이 쌓이면 자기 프레임은 저절로 생깁니다.
처음 내건 저의 건측 프레임, 곧 건축론을 세우는 데 3년 정도 걸렸어요.
                                                                         - 302 쪽 -



------------------------------------------------------------------------------------
1. 그래서 내게 묻는다. '영업의 본질은 무엇일까?'


2. 그랬군. 
   <고도를 기다리며>의  황량한 무대미술이 자코메티 였다니...

   그의 조각과 그 무대미술을  한번도 연관시켜 생각한적 없으나 
   살을 발라내고 뼈만 세워 본질에 접근하는 것이 자코메티의 <프레임>이자 <예술론>일 것이다


               알베트로 자코메티 -거대한 여인 -






티아레  11.03.17 이글의 답글달기

자기 프레임을 만드는 방법은 자기 분야의 본질에 다가가는 방법..

본질에 관련된 책을 찾아야죠.
그러다 보면 책을 읽는 도중에 고민하는 버릇이 꾸준히 생기게 돼요.
잘못된 답을 얻을 수도 있지만, 그보다 고민하는 과정 그 자체가 더 중요합니다.
이런 고민이 쌓이면 자기 프레임은 저절로 생깁니다.

반갑게도,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건지 알 것 같다는.
마지막 문장은 격려 정도 되겠지요. 내겐 희망사항이었는데.

프러시안블루_Opened  11.03.17 이글의 답글달기

티아레님.
사실 저는 책읽기가 정말 삶에 도움이 되는건지 회의하는 편입니다. 책을 통해 정말 본질에 다가갈 수 있는지....그래서 <독서 만능주의자>들을 보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지요.

다만 일의 본질에 대한 깊은 사색은 존재의 의미와도 관계가 있으므로 꼭 필요한듯 싶어요.

그리고, 저는 티아레님이 이미 자기 일의 본질에 접근해 있는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티아레  11.03.18 이글의 답글달기

제 생각도 비슷해요, 블루님.

위에 언급된 본질에 다가가는 방법론에서 제가 공감했던 부분도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꾸준히 고민하는 버릇, 고민하는 과정 자체의 중요성"이었어요. 저도 이런 고민이 계속 쌓이면서 뭔가 주요한 틀들이 서서히 형성되어가는 걸 경험했거든요.

독서는 본질에 대한 고민을 위한 여러 방법들 중 하나겠지요. 분야에 따라 결정적인 방법이 될 수도 혹은 보조(참고)수단 정도가 될 수도 있겠구요.

사람들은 자기표현 내지는 타인과의 소통을 위해 저마다 자신 나름의 진수를 녹여놓은 작품(works)을 남기는 걸 좋아하잖아요. 어떤 모델의 포트폴리오, 어느 무명배우의 데모테잎, 누군가의 블로그, 책, 드라마, 영화, 예술품... 내게 좋은 책이란 누군가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그런 작품들 중 하나인 것 같아요.

저는 무엇인가 의미있는 걸 남기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그런 열정과 분투에 사실 적잖은 경이로움과 고마움을 느껴요. 저는 그러니까 그런 작품들을 (나와 인연이 닿는 한) 즐길 수 있는 것으로 기꺼이 만족하는 편이거든요.

시공의 제한 없이 누군가의 정수인 그의 마인드를 만난다는 건 분명 영감과 메시지, 교훈을 얻는 멋진 경험이고 때론 많은 도움을 얻는 게 사실이지요. 하지만 좋은 인연을 만나기 위해 꼭 많은 인연을 두루 섭렵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 스스로의 깊은 숙고과정이 없이는 자신이 닿고자하는 어떤 것의 본질에 다가가기는 거의 불가능하리라 생각해요, 저도.

cjswogudwn  11.03.18 이글의 답글달기

사색은 그 어떤 분야도 똑같네요;.
'독서'는 아니지만, 저도 논문만 읽으면서 뭔가 찾으려하는 거에 회의를 느껴서 계속 밖에 쏘다니며 직접 뭐 하려고 했는데, 그 시도에도 결국 남의 생각과 글이 필요하더라는,. 어차피 혼자 살기 버거운 세상인데, 남이 써놓은 것들, 고민해놓은 것들 "이용"해서 결과를 내놓는 게 낫다는 게 제 최근의 고민의 끝이네요.-0-

   사랑할때 알아야 할 것, 첫번째 [2] 11/05/25
   Sunny - 화창한, 햇살이 눈부시게 내리쬐는 [1] 11/05/22
   김광석 [4] 11/03/25
-  독서-서른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구본준, 김미영)
   우리는 모두 일본인이다 [2] 11/03/15
   직장학 개론-나도 필살기를 가지고 싶다 (구본형) [5] 11/03/13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11/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