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희 누나 │ deux. | |||
|
방금 아침드라마 복희 누나를 보았다. 할머니 집에서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재미있어서 그 뒤로 계속 보고 있다. 외출하지 않는 날은 12시나 되어야 일어나는 게 기본이었는데 복희 누나를 보려고 9시에 꼬박꼬박 일어난다. 드라마라는 게, 참 의외로 일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생각한다. 이야기라는 것은, 들을 만한, 그리고 볼 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다고. 그러니까 소설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필요로 하니까 쓸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소설을 쓰는 것이 좋기는 한데 한동안 읽어주는 사람 없이 혼자만 골몰하다보니 소설을 왜 쓰는 지 알지 못했었다. 소설은 그 자체로서 완성되지 않는다. 읽는 사람, 감상하는 사람이 있어야 그제서야 비로소 완성이 된다. 수식에서 '항' 하나가 빠져있었는데 어떻게 답이 나올 수 있었겠는가. 답답했던 것이 허무할 만큼 간단한 답이었다. 하지만 대입할 것을 찾은 것은 기특한 일이다. . . 사람들이 읽으면서 자신의 상처를 돌아보고 혀로 핥을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소설을 쓸 수 있었으면. 그 상처가 자신만의 것이 아님을 세상 사람들 모두 마음 속에 하나씩의 상처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보듬어 안고 살아간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소설을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 . 아무튼 복희 누나는 뭐 그렇게 대단한 아침 드라마는 아니다. 남자 주인공이 잘 생겨서 보는 것도 있고 70,80년 대의 시대상을 보는 것이 재미있고 무엇보다도 막장이 아니면서 등장인물들 저마다의 삶을 잘 풀어내는 것 같아 재미있게 보고 있다. 흡입력이 있는 드라마는 아니지만 볼 만은 한 아침 드라마이다. |
|
||||
|